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lidation of K-DST about motor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screen them at an early stage in South Korea. Methods: 58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study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aim of this study. K-DST was use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to verify the validity of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ronbach’s Alph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DS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The reliability of K-DS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developmental areas (e.g., gross motor, fine motor, language development) was 0.96-0.98, indicating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reliabilit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d higher multicollinearity than .40, which means that they had positive loading of each question in each variabl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ross motor and fine mot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en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e.g., gross motor and language, fine motor and language). In the model fit, the AGFI factor showed a positive model fit, but other factors did not have. Conclusions: Gross motor, fine motor, and language had positive loading of questions in each variabl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ross motor and fine mot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t there was not a positive model fit i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Therefore, you may move “in the future“ to after “to validate.“ , it is necessary to use all the factors of this test to validat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의 운동 및 언어 발달에 대한 K-DST의 타당성을 확인하여 조기 선별 검사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기 위해 발달장애아동 5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발달선별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K-DST를 사용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K-DST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살펴보기 위해 Cronbach 's Alpha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발달장애아동의 K-DST의 발달영역(예 :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언어발달)에 대한 신뢰도는 0.96-0.98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확인 요인 분석 결과는 .40보다 높은 다중 공선성을 보였으며, 이는 해당 변수의 질문문항이 양의 부하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발달장애아동의 대근육운동과 소근육운동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근육운동과 언어발달, 소근육운동과 언어발달 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모형 적합에서 AGFI 계수는 양의 모형적합을 나타내었지만 다른 요인은 그렇지 않았다. 결론: 대근운동발달, 소근운동발달, 그리고 언어발달과 관련된 각 문항들은 적절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아동의 대근육운동과 소근육운동 발달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K-DST검사의 전 영역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발달장애아동의 선별검사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K-DST의 모든 영역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