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청소년시기에 경험했던 사이버 공간에서의 피해경험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시기에 사이버 공간에서 괴롭힘을 당했던 경험이 있는 대학생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의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과 개방형 코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0개의 개념, 9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4개의 범주는 ‘괴롭힘의 돌림노래’, ‘게임 속 그와 메신저 속 그녀’, ‘사이버 괴롭힘 대처과정에서의 지원군’, ‘초스피드 정서전달자인 스마트폰’ 이다. 첫 번째 범주인 ‘괴롭힘의 돌림노래’는 현실에서의 따돌림과 사이버 상에서의 괴롭힘 경험이 이어지는 것이다. 두 번째 범주인 ‘게임 속 그와 메신저 속 그녀’는 사이버 괴롭힘에서의 성차를 반영한 범주이다. 남학생들은 주로 게임 상황에서 언어적, 관계적 괴롭힘에 시달리는 경험을 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주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메신저 및 미니홈피에서 자신이 소외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세 번째 범주인 ‘사이버 괴롭힘 대처과정에서의 지원군’은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며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고 인식하는 것과 부모와 가족의 지지와 격려로 인해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을 극복하는 것이다. 넷째, ‘초스피드 정서전달자인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사이버 공간에서의 괴롭힘 행동을 포함한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괴롭힘 예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 experiences in cyber-space as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To do this, twelve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bullying in cyber-space during their adolesc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data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nd an open coding method. In the analysis, 30 concepts, nine subcategories, and four categories were established. The four categories are ‘vicious cycle of bullying’, ‘him in the game vs. her in the messenger’, ‘supporters during the process of coping with cyber-bullying’, and ‘smartphone as a speedy emotional transporter’. The first category, ‘vicious cycle of bullying’, refers connection between offline bullying and bullying in cyberspace. The second category, ‘him in the game vs. her in the messenger’, reflects gender differences in cyber-bullying. While boys primarily experience verbal and relational bullying in game situations, girls often experience their own alienation on smartphones, computer messenger applications, and on mini-homepages. The third category, ‘supporters during the process of coping with cyber-bullying’, is related to how the students respect themselves and recognize that they are not to blame, as well as to overcome the cyber-bullying experiences with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Fourth, ‘smartphone as a speedy emotional transporter’ is related to the influence of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on peer relationships, including cyber-bully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yber-bullying prevention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