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학습자가 함양하고 신장시켜야 할 능력을 지칭하는 개념으로서 ‘문학 문식성’에 주목하여 현재까지의 논의를 검토하여 그 의미역과 역할을 정립하고, 향후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식성 개념의 활발한 분화 및 기존 논의의 학습자의 문학 역량의 추상성으로 인해 문학 문식성 논의는 그 동안 구체화되어오지 못했다. 그러나 문식성 개념의 국어교육에서의 역할과 현실을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확장성에 의해, 문학 문식성 개념은 국어교육 내 영역으로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생산적 논의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인 문학의 예술성에 주목하여 문학 문식성의 심미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특히 심미적 문식성 논의를 통해 문학의 텍스트적 자질과 학습자의 정서를 연관지어 설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문학 문식성을 학교 밖 문식성 및 전생애적 문식성과 연관지어 학습자가 문학을 자발적으로 향유하는 태도에 대해 문식성의 관점에서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식성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그 동안 문학교육의 목표가 되었던 학습자의 능력을 일관적인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시도하였으며, 향후 문학 문식성과 관련한 생산적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ality to future discussions through the review of the past discussions made up to date which have been taking note of “literary literacy” as a concept which indicates the ability of learners to cultivate and expand throughout literature education. The concept of literary literacy is regarded as a meaningful foothold for discussion in literature education due to the fact that literacy originated from linguistic ability and the notable expandability of the concept. This study focuses on the artistic nature of the literary text, converging into the aesthetic attributes of literary literacy, and attempts to relate the textual qualities of literature to the emotions of learners. And based on the concept of out-of-school literacy and lifelong literacy,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learners' voluntarily enjoying the attitude of literature.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learner’s abilities,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consistent perspective analysis, and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the provided groundwork for productive discussions going on for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