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퀴블러 로스에 따르면, ‘죽음’의 경험은 ‘출생’의 경험과 같다. 상징적으로 비유하자면, 죽음은 그저 한 집에서 더 아름다운 집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고치(몸)가 회복불능의 상태가 되면, 나비(영혼)가 태어난다. 죽음이란 나비가 고치를 벗어던지는 것처럼 단지 육체를 벗어나는 것에 불과하다. 죽음을 메타모퍼시스로 이해하는 퀴블러 로스의 죽음에 관한 성찰을 이제 철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인다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일찍이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도 죽음을 메타모퍼시스로 파악한 바 있다. 정신의학자 퀴블러 로스의 죽음에 관한 성찰이 철학자 카시러의 관점과 잇닿아 있다. 다만 퀴블러 로스의 죽음 이해를 문화철학적 시선에서 원시인의 심성과 신화적 사유의 고유한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죽음 현상의 인식적 근거를 제공하는 이가 바로 카시러이다. 그래서 카시러에 주목하고자 한다. 나는 이 글에서 카시러의 안내를 받아 원시인의 신화적 사유에 근거한 지각의 방식과 공간의 이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원시인의 삶의 양식과 태도에서 죽음의 문제를 논의하고, 이를 통해서 죽음의 현상, 죽음의 실체, 죽음의 의미, 더불어 삶의 교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Elisabeth Kübler Ross (1926-2004), the experience of death is like an experience of birth, if we consider death to be the transition from one house to another, from the cocoon to the butterfly. In this way, death is a bodily escape, as the butterfly escapes the cocoon; this is a metamorphosis. Ernst Cassirer, in his philosophy of culture, also grasps death as metamorphosis. In particular, Cassirer focuses on primitive ment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mythical thought in order to understand death. Through this discussion, Cassirer suggests a cognitive foundation for the phenomenon of death. In this context, we explore the mythical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space in Cassirer's perspective, and we discuss death in terms of primitive lifestyle and attitude. Finally, the phenomenon, fact, meaning, and message of death will be expl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