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을 후기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해석한다. 이음 사유는 ‘생기’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하는 후기 하이데거의 기획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음 사유가 하이데거의 예술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하이데거 예술론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평가받는 「예술작품의 근원」을 이음 사유와 관련지어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가 그의 예술론과 맺고 있는 밀접한 연관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하이데거의 이음 사유에 대한 개관이 제시될 것이다. 이어 3장과 4장에서는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제시되는 ‘비-은폐성’으로서의 진리 개념이 이음 사유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그리고 거기서 예술작품은 과연 어떠한 존재자로서 해명되고 있는지가 밝혀질 것이다. 5장에서는 예술가의 존재 방식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을 분석함으로써, 존재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의 숙고가 마찬가지로 이음 사유의 궤도를 따라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This article interprets Heidegger's "The Origin of Art Work" in relation to the connectedness in his later works. Connectedness plays a key role in Heidegger's subsequential project which centers on thinking on "event", but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erms of its close relation to Heidegger's discourse on art. This article explains this relationship by reinterpreting "The Origin of Art Work," considered to contain the essence of Heidegger's discourse on art, in terms of connectedness. To this end,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Heidegger's thinking on connectedness, and Chapters 3 and 4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truth as an "un-concealment" that arises in art and Heidegger's connectedness, through which excellence in art will be explained. Then, Chapter 5 analyzes Heidegger's explanation of how an artist is and reveals that his consider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nd Dasein unfold along a path of connecte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