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공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개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서 구성되는 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전문성의 수행으로 바라보고, Gee의 이론을 적용하여 개인과 사회문화 간의 중재 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및 어머니와 면담을 수행하고 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담론은 애정과 민감한 돌봄을 제공하는 전문가로 승인되어졌으며, 부모와 함께 노력하는 조력자로서 협상되었다. 반면, 보육교사 자격취득의 용이함으로 인해 전문성이 거부되는 구조적 제한을 나타내기도 했다. 전문성 수행의 과정에는 대리모성인으로 보육교사를 전제하는 모성, 이원화된 돌봄과 학습, 희생이 요구되는 여성노동으로 지시된 형상화된 세계가 반영되었다. 보육교사 전문성 수행에 반영된 형상화된 세계는 전문성 승인에 전제된 가치체계로서 보육교사와 어머니들의 판단기제로 중재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공동양육자로서 가정과 보육기관 간 협력하는 상생의 보육연대를 제안하였다.


As the public demand for high-quality child care increases, political action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Drawing on Gee’s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child care teachers appeared in early childhood fields, and analyzed the mediated 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al-cultur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discourses on professionalism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appeared to be experts in providing affection and sensitive care, and to be constantly negotiated with mothers through collaborative interactions in everyday encounters. On the other hand, as the qualification of child care teachers became easier, there were structural limitations of professionalism. The ways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reflected the world where child care work is perceived as a women's maternally labor, under the care and education dichotomy. The world reflected in performing professional identities was mediated by the professionalism discourse of teachers and mothers, as a value system premised on the approval of the professionalism.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redefining professionalism in child care and suggested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tween families and child care workforce as co-rearers for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