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복합 연구는 영화 스토리텔링 분석에서 시작되 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크 데리다의 해체적 폭력론 을 통해 본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영화 <나를 찾아 줘>(2014) 스토리텔링 속 폭력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데리다의 해 체주의와 해체적 폭력론을 고찰하였다. 이후 본론에서 는 <나를 찾아줘> 스토리텔링 속 여주인공 에이미에 게 발생한 폭력을 분석하였는데, 첫째 원초적 문자, 말의 폭력으로서 엄마가 쓴 동화 속 소녀의 삶, 둘째 타자를 억압하는 폭력으로써 남편에게 맞춘 아내로서 의 삶, 셋째 통상적인 범죄의 폭력으로써 환상이 깨진 후 진짜 이야기로 구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한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초의 원초적 폭력인 문자, 말의 폭력은 형이 상학의 폭력이며, 이 근원적 폭력은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호칭부호를 넣어 오염된 기원적 폭력이다. 둘째, 최악의 폭력은 자신만의 비폭력 도덕원리를 내세워 타자의 주체적 인식을 배제하여, 나만의 진리로 중심 화하고 동일화시켜, 타자를 억압하고 속박하는 폭력이 다. 셋째, 통상적인 범죄의 폭력은 우발적인 사건으로 서 도래할 수도 아닐 수도 있으며, 두 번째 폭력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화 스토리텔 링을 데리다의 해체적 폭력론 관점에서 분석하는 본 복합 논문이 영화의 새로운 스토리텔링 기법 창작과 다양한 양질의 영화콘텐츠 양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is complex study began from the analysis in film storyte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violence in storytelling <Gone Girl>(2014) directed by David Fincher through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sidered Derida's deconstruction and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After, In the main theory, analyzed the violence that occurred to Amy, the heroine in the storytelling of <Gone Girl>. First, life of a girl in a fairy tale written by her mother as the violence of archi-écriture and language. Second, life as a wife tailored to her husband as violence that suppresses others. Third, tried to separated analysis by a real story after the fantasy was broken due to the violence of ordinary crim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rimitive violence, the violence of archi-écriture and language is metaphysical violence and this fundamental violence is the original violence that is contaminated with a name tag that does not recognize differences. Second, The worst violence is the violence that suppresses and binds the other by centralizing and equalizing the truth of the other by exclud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other by putting his own nonviolent moral principle. Third, The violence of ordinary crime may or may not come as an accidental event and it is due to the second violence. I expect that this complex study that analyse that film storytelling based on deconstructive violence theory and deconstruction of Derrida’s viewpoin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new storytelling techniques and generating various quality film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