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우울, 불안 및 외로움의 변화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3개월 간격으로 3시점의 1년간의 단기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성인 인터넷 패널 1,768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부적 정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성장곡선 간 인과모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스마트폰 중독 점수의 초기치에서 개인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에 있어서는 개인차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의 경우 초기에 우울한 개인이 스마트폰 중독이 높으며 우울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의 회복 속도가 더디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의 경우 초기에 불안이 높을 때 스마트폰 중독 수준도 함께 높아지지만 불안의 변화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움에 있어서 초기에 외로움이 높을 때 스마트폰 중독이 높으며 외로움의 증가속도가 커질 때 스마트폰 중독의 회복이 더디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과정에서 부적정서의 개입 및 상담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 in depression, anxiety, and loneliness on the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 by conducting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during three different periods at three-month interval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769 adults from an Internet panel. To identify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 on smartphone addiction, a latent growth cause-and-effect model was applied. The analysis showed that smartphone addiction scores decreased gradually.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scores between individuals, the individual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in the progress of the addiction. Also, in the beginning, individuals with depression were more likely to manifest smartphone addiction and, when the depression increased, recovery from smartphone addiction was slower. As for anxiety, in the beginning,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anxiety were more likely to be more addicted to smartphon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depression and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 As for loneliness, in the beginning, individuals with loneliness were more likely to manifest smartphone addiction and, when the loneliness increased, recovery from smartphone addiction was slower. Last, the study discusses the intervention and counseling strategies relating to negative emotions in the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