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노출치료가 여대생의 이성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진술 검사 부정형 문항에서 38점 이상을 기록한 여자 대학생을 짝짓기 방법으로 실험집단에 19명, 대기통제집단에 16명으로 할당하였다. 참가자들에게 가상현실 노출치료를 2주간 총 4회기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진술 검사, 주관적 불편감 단위 척도, 심장박동수, 수행불안에 대한 행동목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대화 전 심장박동수와 수행불안에 대한 행동목록의 관찰자 평정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주관적 불안은 대화 전, 대화 중, 대화 후 시점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대화 후 심장박동수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on heterosocial anxie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wer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scored higher than 38 in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Interaction Self-Statement test (SISST). For this study, 19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wait-list control group. The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comprised four 30-minute sessions scheduled twice weekly.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Interaction Self-Statement test (SISST), the Subjective Unit of Discomfort Scale, the Heart rate, and the Timed Behavior Checklist for Performance Anxiety (TBCL) were measurements applied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positive automatic though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wait-list control group,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eart rate before conversation, and observer evaluation of performance anxie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list control group. Subjective anxiety and heart rate after convers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al for following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