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elief in a Just World)의 잠재프로파일 및 잠재프로파일의 관련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확인하고,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검증하였다.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대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하위요인(분배공정성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 절차공정성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 분배공정성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 절차공정성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을 투입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3집단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당한 세상의 믿음이 하위요인 수준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고/중간/저수준 공정성 인식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의 관련 인구통계학적 변인 검증결과, 남자 대학생보다 여자 대학생이 고수준 공정성 인식집단보다 저수준 또는 중간수준 공정성 인식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중간수준 공정성 인식집단에 비해 저수준 공정성 인식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삶의 질의 검증 결과, 고수준 공정성 인식집단은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하여 모든 삶의 질 영역에서 삶의 질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개입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다루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profiles of belief in a just world(BJW) and its associated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From May to August 2019, 35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including the Korean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study assessment instrument-BREF.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ree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subtypes of BJW: low-level/middle-level/high-level perceived justice groups. Gender and incom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Specificall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low-level or middle-level perceived justice groups than high-level group. And those with lower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ow-level perceived justice group than the middle-level group. Quality of life(QOL)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profiles. The high-level perceived justice group had a higher QOL than the other groups in all domain. The results suggest that BJW should be considered i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OL of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