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군의 정신교육에서 애국심 고양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군인이 국가를 사랑하는 것은 자신의 존재이유(raison d’ȇtre)를 담보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군 정신교육에서 애국심의 위치를 고찰해 보기 위해 우선 애국심의 정의와 국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대시대에서는 공공의 자유가 실현되는 정치 제제에 대한 관심이 애국심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세시대의 애국심은 국왕으로 상징되는 ‘patriot’에 대한 사랑으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절대적인 기독교적 가치에서 벗어나 특수하고 개별적인 것에도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인간에 대한 순수한 관심으로 변화되었다. 그 후, 애국심의 개념적 정의는 ‘국가’라는 존재와 국가에 대한 충성 또는 사랑의 감정을 가지는 주체인 국민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애국심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및 애국심의 대상으로서 국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해 보았다. 끝으로 애국심 고양을 위한 군 정신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해 양성과정에서의 군 정신교육과 야전부대에서의 군 정신교육 그리고 교관 양성기관에서의 군 정신교육 및 교육 개발 모델 제시 및 살아 있는 참여식 토론 수업이 되는 방법들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e directions to increase patriotism in the Moral Education at the ROK Armed Forces. It is true that a soldier loves her country's reason for being (raison d'ȇtre). First of all, this paper has focused on patriotism and the national anthem. In the ancient era, the public interest in political formulations emerged as a sign of patriotism. Patriotism in the Middle Ages was transformed into a love for patriarchal values. And in the Renaissance era, it was changed to a unique and individual thing, and became a pure concern of human beings. Then, the concept of patriotism could be summarized as a love for a citizen, a subject with a feeling of loyalty or love for the state (and so the existence of the 'state'). In the following section, this paper has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patriotic education and has reconstructed the nation as a subject of patriotism.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litary has made a large contribution towards the development of the ROK Armed Forces since its foundation. Furthermore, it has also looked at patriotism in the moral education and patriotism education, and led to a discussion about the location of patriotism and patriotism in the moral education. I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we have made suggestions to increase patriotism in the moral education at the ROK Armed Fo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