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 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구성요소들을 롤플레잉게임(Role Playing Game)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치료 효과 뿐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서 비행 문제로 의뢰된 36명의 청소년들과 이들의 담임교사 18명이었다. 청소년들은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되었고 담임교사 역시 청소년들의 무선 배정에 의해 함께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고 비교집단에는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에게는 매 회기 후에 청소년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는 교사 교육을 받지 않고 사후 및 추후 측정에만 관여하였다.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행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자기 통제 수준을 사전, 사후, 추후(두 달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비행행동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력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프로그램이 종결된 시점에서 한 달이 지난 후에 재측정을 했을 때에도 비행 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및 자기 통제력 수준이 모두 사후 평가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더불어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RPG형식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비행 문제 감소 및 비행 문제 감소와 관련된 기술 및 전략의 향상에 효과적이면서도 비행 청소년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집단치료 프로그램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hat reduces adolescent delinquency and enhances adolescents’ social problem-solving,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skills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role-playing game (“RPG”) to increase the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 adolescents who engaged in delinquent behavior and their 18 homeroom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roposed RPG-based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while comparison group received problem-solving group therapy.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ducated about how to guide their students following each therapy session while teachers in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receive any educ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incidences of delinquent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skill level. Each variable was assessed before treatment,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full treatment program, and two months after the end of the full treatment program. At the end of the full treatmen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fewer delinquent behaviors and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ocial problem-solving,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skills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se differences persisted until the assessment two months after the end of the full treatment program.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program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is RPG-based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at reducing adolescent delinquency, improving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management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avoiding delinquency, and in motivating delinquent adolescents to engage more actively in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