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 직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리더십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인으로서 조직지원인식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가설은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부하직원의 직무열의에 부(-)적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지원인식이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인격적 감독을 측정하기 위해 직속상사와 함께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11부가 수집되었으며, 그 중에서 불성실하거나누락된 응답을 한 22부를 제외한 38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부하직원의 직무열의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비인격적 감독의 빈도가 늘어날수록 부하직원의직무에 대한 열의는 떨어지게 된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직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영향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리더의 부정적인 말과 행동이 부하 직원의 직무열의에 뚜렷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에서는 직원들이 지속적으로 직무열의를 가지고 활기차게 업무에 몰두하게 하기 위해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안정장치를 마련하고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비인격적 감독,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which is an aggressive and destructive form of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subordinates, as well as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lays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 engagement. Despite negative leadership behavior, this study intends both to discuss the role of control variables that can maintain work engagement and to provid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oes abusive supervision on the part of supervisors influence the work engagement of subordinates? Second, does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work engagement? Analysis ga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work engagement found that such supervi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concerning supervisors' impersonal supervision and work engagement. This analysis foun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ontrols the effe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work engagement. We obtain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The leaders of an organization should clearly understand abusive supervision, and they should be careful not to behave in such a destructive way. The organization should educate leaders about the actions that they should take to prevent such behaviors from spreading. Second, organization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ch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try to manage them as the primary resource of the organization. So, organizations should make diverse efforts to support their member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and organizational activation strategies in order to expand the bonds wit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Key words: Abusive supervision, work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