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소월의 시가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시어는 모호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 작품이, 의미가 부여된, 기호로 이루어져 있는 이상, 독자는 그 기호를 정확하게 해독해야 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시 이해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시어 해석을 잘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고에서 시어 해석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문맥적 의미와의 호응 여부에 있다. 어휘는 상호 결합성을 갖고 있다. 앞뒤의 어휘와 연결되어야만, 정확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즉 단어의 의미는 문장이라는 구조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의미는 정확한 해석이라고 할 수 없다. 김소월의 시는 주제가 현실 참여적인 것도 있고, 서정적인 것도 있어, 소월은 시어로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어휘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시가 예술의 한 장르인 이상, 일상어로는 예술성을 담보할 수 없기에, 시인은 여러 가지 변주를 가한다. 소월은 시의 주제와 관련된 주요 시어는 주로 고어에 기반을 둔 어휘로 변주를 주었다. 변주가 심한 경우에는 독자가 시어를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어, 때로는 현학적이거나 관념적인 해석을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시 작품을 문법적 시각으로 보는 것에 대해 탐탁하게 여기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독자가 작품을 완전하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시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담보되어야 한다. 시인이 시어를 조어할 때에, 언어에 대한 그 시인만의 독특한 인식이 반영된다. 본고는 시어를 정확하게 해석하면, 시인의 시세계를 더욱 정밀하게 천착할 수 있고, 아울러 시인의 시어 체계도 세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월의 시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시어가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문맥적 의미와 어울리지 않게 몇몇 시어를 어색하게 해석한 경우가 있다. 본고는 시어를 어학적인 관점으로 조명해 본다. 소월의 시어가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몇몇 파생어를 대상으로 분석하겠다. 선행 연구에서 해석에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몇몇 파생어가 분석의 대상이다. 본고에서는 접미 파생어로, 피동사 ‘켱기다’, ‘싸히다1(-이-)’, ‘싸히다2(-히-)’, 사동사로 ‘다리우다’, ‘일니우다’, ‘숨치우다’, ‘쉬이다’를, 접두 파생어로는 ‘휘졋이, 휘다’에 대해 선행 연구와 다른 해석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문맥적 의미에 기반을 두어, 선행 연구에서 제기했던 시어의 의미를 재고한다. 필요에 따라 관련된 어휘를 제시하고 문법적 추론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소월의 조어 특징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소월의 시작법의 특징을 일부 파악할 수 있었다.


The topic of Sowol poetry is folk and local. And the theme concerns the agony of life and the future of the nation. Because the theme of the poem was realistic and lyrical, Sowol wrote poems with a daily and concrete meaning. But meanwhile, Sowol used to write old words frequently. To understand the poet, the exact interpretation of the poem should precede. When a poet refers to a poet word, the poet reflects his unique language recognition. If we capture that perception, We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poet's poetry. This study tries to capture such a thing. That is the poet's poetic word system. This paper analyzes the poetic word from a grammatical perspectives.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paper is the derivation. It has been interpreted variously i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is as follows. 1. ‘kyeonggida(켱기다)’ is a derivative word that the meaning is a ‘be attracted’, on the other hand ‘kyeongkida(켱키다)’ is a compound word that the meaning is a 'all jumbled'. 2. ‘ssahida(싸히다)’ is a homonym. The meaning is ‘be sliced’ as a archic word in the 「공원의봄」, but the meaning is ‘be surrounded’ in the 「가을아츰에」. 3. ‘daliuda(다리우다)’ is a causative verb of ‘dalda(달다)’ that is attacched suffix ‘-u(우)-’. The meaning is a ‘hang loose(처지다)’. 4. ‘ilniuda(일니우다)’ is a pseudo causative verb of ‘ilda’ that is attached suffix ‘-ni-’. The meaning is a ‘be shaken’. 5. ‘sumchiuda(숨치우다)’ is a pseudo causative verb of ‘sumchida’ that is a suffix ‘'-u-’. The meaning is a ‘keep on living’. 6. ‘swiida(쉬이다)’ and ‘daeida(대이다)’ is a pseudo causative. But It sometimes is a causative. 7. ‘hwijeosda(휘젓다)’ and ‘hwitteolda(휘다)’ is a derivation word. ‘hwi-(휘-)’ is a prefix that the meaning is a ‘recklessly’, ‘exceedi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