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들의 공감적 문학 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서 다루어진 ‘공감적 문학 소통 능력’은 독자가 시 텍스트를 읽으면서 상상 혹은 동일시 등의 수단을 통하여 공감 대상인 타자의 감정과 이 감정의 발생 계기를 파악하고 이해하며, 이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산출함으로써 작가와 소통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공감적 문학 소통 과정이 보다 돋보일 수 있도록 ‘공감적 지각’, ‘공감적 분석’, ‘공감적 이해’, 그리고 ‘공감적 성찰’의 네 가지 단계로 구체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일대일 면접’ 및 ‘모둠 토의’, 이 두 가지 유형의 실험을 통하여 중국인 고급 학습자들의 시 읽기 과정을 실제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각 공감적 소통 단계에 따라 학습자들의 시 읽기 양상을 ‘공감적 계기의 발견을 통한 공감적 지각’, ‘공감 대상에 대한 파악을 통한 공감적 분석’, ‘경험적 거리의 조율을 통한 공감적 이해’, 그리고 ‘공감장의 구축을 통한 공감적 성찰’의 네 가지 유형으로 체계화시켰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연구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각 공감적 문학 소통 단계에 따라 학습자들이 산출한 시 읽기 양상들의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중국인 학습자들의 시 읽기 한계점을 보완하고 공감적 문학 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공감적 계기를 명료화하기’, ‘문화적 기억을 반추하기’, ‘개인적 경험을 활성화하기’, 그리고 ‘공감적 소통 과정을 재검토하기’의 네 가지를 고안해냈다.


This research aims to draw up a measure for the Korean modern poetry reading edu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of sympathetic literary communication of the Chinese advanced learners. The key word of this research, ‘sympathetic literary communication ability’, is defined as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hat he or she can communicate with an author by understanding why the object of sympathy has a specific emotion and giving a proper reaction through imagination or synchronization while reading texts. Apart from the existing studies, this research specified the step growth of the procedure of sympathetic literary communication in poetry reading into 4 steps: ‘sympathetic perception’, ‘sympathetic analysis’, ‘sympathetic understanding’, and ‘sympathetic reflection’. Moreover, through the two types of research-‘one-to-one interview’, and ‘group discussion’, it was able to observe the actual process of poetry reading from the Chinese advanced learners. In accordance with each sympathetic communication step, it systemized the learners’ aspects of poetry reading into four types: ‘sympathetic perception through the discovery of sympathetic momentum’, ‘sympathetic analysis through the comprehension in the object’, ‘sympathetic comprehension through the adjustment of experiential distance’, and ‘sympathetic reflec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field of sympathy’. Lastly, it was able to extract the limitations of the aspects of poetry reading from learners at each sympathetic communication stage. Besides, as a measure of complementing the learners’ limitations and improving their sympathetic literary communication ability, the four things could be considered: ‘clarifying sympathetic momentum’, ‘ruminating literary memory’, ‘activating personal experience’, and ‘reviewing sympathetic communication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