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범대학의 현장실습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경험하고 이를 몸소 조율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그간 사범대학 학생들의 현장실습 경험은 매순간의 실천 경험 자체가 학습의 경험으로 간주되지 못하고 오히려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실습 과정을 간과함으로써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양질의 실습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끔 하며 학생들의 실습 경험의 의미 자체를 들여다보는데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 경험 분석에 대한 이러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상황학습의 관점에서 실습 경험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사례는 2016년 신설된 I사범대학의 현장연계 프로그램인 지역사회연계활동(Joint Educational Program:JEP)에 참여한 학생들의 실습 경험으로, 학생들이 실습 이후 제출한 성찰 보고서를 바탕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는 학생들이 실습에의 참여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어떻게 학생들에게 학습의 의미로 남게 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더불어 기존의 현장실습과는 다른 운영 방식의 실습 프로그램과 이를 통해 드러나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은 앞으로의 현장연계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field practice program at College of Educ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to mediate it in person. However,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e at college of education has tended to be analyzed based o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ather than the experience of practice itself. It prevents high-quality design to meet the needs of the field, and has limitations in looking at the meaning of students' experienc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recognize these limitations and look at the hands-on experience from a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An example of the analysis is the experienc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eld-linked program, JEP. JEP is the newly established I University in 2016, which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s based on reflection reports submitted by students after the program. Research will show that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se experiences will remain a meaning of learning for them. In addition, newly teaching practice like JEP that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field practice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future field-linked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