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 희망 여부에 따라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원양성 과정에 있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직을 희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교직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직을 희망하는 예비교사들과 비교했을 때, 교육실습이나 수업시연과 같은 수업활동에 대한 인식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교원양성 과정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수업경험을 하게 되는 교육실습 기간을 중심으로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서 수업역량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수업역량 인식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인한다면 유능한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4년제 국립 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10명(교직 희망자: 5명, 비교직 희망자: 5명)으로 교육실습 이전에 대상자를 선정했다. 예비교사가 수업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교육실습 전 ・중・후에 걸쳐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3회씩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은 녹취하여 전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경험 및 수업역량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것은 수집된 자료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와 구조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 교육실습 전의 수업경험에 두는 의미를 달리하지만, 교육실습 경험은 교직희망 여부와 관계없이 수업의 실제적인 요인들에 대하여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교육실습의 결과는 교직희망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직 희망자는 수업내용 전달을 강조한 반면에, 비교직 희망자는 재미있는 수업 구성과 학생과의 관계에 더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교육실습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의 요인 파악과 수업역량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 differently their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whether they want to be a teacher or not. Depending on their desire to be a teacher for future, their cognition on lesson experience and teaching practice could differ. Especially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as real classroom experiences, could influence most powerfully on their concept formation on teaching competency. Thu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elps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for training competent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transition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was analyzed through three chronological periods: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teaching practice. A total of 1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before, during, and after teaching training programs (teaching profession in the future: 5, no teaching profession in the future: 5).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based on the keyword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As a result, after teaching practice, all the participants could exp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But there was a different percep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pursuit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pre-service teacher focused on the content, student understanding, and methods of instructional delivery.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who do not want to work as a teacher in the future paid attention to the interests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