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현재 중국 조선족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선어문(新編, 2014~2016年)』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조선족 중학교 문학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문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조선어문』 교과서의 복합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조선어문과정표준(朝鮮語文課程標準)’을 살펴보았다. ‘조선어문과정표준’에서는 『조선어문』 교육을 통해 크게 네 가지의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첫째는 언어 기능을 강조한 조선어문 사용 능력의 함양이고, 둘째는 사회주의 도덕 품성과 애국주의 사상 감정의 양성이며, 셋째는 민족문화를 이어가는 조선 민족의 일원이 되는 것이고, 넷째는 중국의 우수문화와 외국문화를 섭취하여 기본적인 인문적 소양을 갖추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어문』 교과는 조선어라는 모어이면서도 소수민족어, 계승어라는 정체성을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애국심을 심어주고 한민족 문화를 계승하며 세계의 우수문화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인문적 품성 교과의 역할도 지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의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새로 편찬된 『조선어문』 교과서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종합성학습’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기존의 ‘지식 전달식 수업’ 방식에서 학습자의 생각을 중요시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 현황을 ‘국민적 정체성 확인으로서의 문학교육’, ‘한민족 문화 계승으로서의 문학교육’, ‘세계 문화 수용으로서의 문학교육’ 등 3개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은 중국의 교육정책 속에서 소수민족이라는 정체성을 인식하면서 중국의 문학 전통을 충분히 존중하고 남·북한 문학을 중개적(仲介的) 관점에서 수용하였으며 동시에 세계문학을 폭넓게 포용(包容)하려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어문』 교과서 중심의 문학교육은 조선족 청소년 학습자가 다양한 문학적 자양분을 섭취하여 문학 문식성 신장뿐만 아니라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데까지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currently in use and to make constructiv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 first determined the requirements of the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the complex role of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The language curriculum aims to develop four major skill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a socialist, moral character and patriotism. The third is to strengthen the national culture. The fourth is to acquire basic humanities skills by exploring the world’s best culture. Korean-Chinese Language is not only a language subject, but also a humanities subject. Next, we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new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 for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ly compiled textbook did not cut out the content of the Korean-Chinese language, but integrated it into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e method has shifted from the existing knowledge transfer class method to the learners-oriented class method, which values the learners’ thinking. Finally,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Korean-Chinese Language textbooks and found the following features: Literature is a medium to confirm national identity; literature is a medium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is a method to promote world culture. As a minority in China, the Korean-Chinese literary education fully respect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The Korean people’s identity and tradition is upheld in China’s education policy. At the same time, education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found a way of embracing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hrough integrating world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