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53년 7·27 정전협정을 40여일 앞두고 전국 7개 수용소의 포로들이 일제히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른바 6·18 반공포로 석방사건이다. 특히 전국 탈출 포로 27,388명 가운데 38%에 달하는 10,432명이 광주상무대포로수용소에서 탈주했다. 본 논문은 전국 포로수용소 가운데 가장 많은 포로들이 탈출한 광주상무대포로수용소의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전쟁기 반공포로 수용소 정책과 실태, 현황 등을 살피고자 했다. 또 6·18 포로석방 사건이 이승만과 미국의 이해관계 속에서 이뤄진 고도의 정치적 행위였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한국전쟁 막바지, 정치·군사적 실리를 최대한 취하고자 했던 이승만과 체제 우위를 적극 선점하고자 했던 미국의 ‘암묵적 동의’가 있었기에 포로 석방은 가능했다. 본 논문은 대한반공청년단의 헤게모니 장악 과정도 주요하게 살펴봤다. 또한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석방 포로 처리 현황에 대해서도 기술했다. 이 과정에서 석방 포로의 절반 가까운 이들이 국군에 재입대한 것이 확인됐다. 반공포로들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군 입대를 통해 다시 한 번 입증해야 했다. 이는 전향의 진정성을 끊임없이 강요받은 까닭이었다. 전향을 통해 이미 남쪽 정부를 택한 반공포로였지만 그들은 여전히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의심받고 있었다.


In 1953, about 40 days before the July 27 Armistice Agreement, prisoners from seven concentration camps across the country escaped in unison. It is the release of the so-called June 18 anticommunist. Especially, out of 27,388 prisoners of exile nationwide, 38% of them escaped from the Gwangju Sangmudae prison cam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the anti-communist prison camps in the Korean War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Gwangju Sangmudae prison camp where the largest number of prisoners escaped. It also wanted to prove that the June 18 prisoner release incident was a highly political act under the interests of Rhee and the U.S.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release of prisoners was possible due to the tacit consent of Rhee with US.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hegemony process of the Korean Anti-Communist Youth Group. It also described the status of prisoner releases that had not been covered in the past. In the process, nearly half of the released prisoners were re-enlisted in the Armed Forces. Anti-communist prisoners had to prove their allegiance to the state once again through military enlistment. This was because of the constant doubt of the authenticity of the conversion. Although they were already anti-communist prisoners who chose the southern government through conversion, they were still suspected as ‘Korean natio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