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억이란 단순히 어떤 사건의 내용물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틀이자, 가변적인 쟁점이다. 베트남 전쟁의 기억 또한 마찬가지이다. 각자 취하는 관점에 따라 베트남 전쟁의 기억은 전혀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 현재까지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 전쟁의 집단 기억은 국가/민족 서사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의 집단 기억에 동화될 수 없는 기억들이 있다. 이러한 기억을 반(反)기억이라고 한다. 문학은 반기억들이 분출되는 대표적인 통로이다. 아동문학의 장에서 베트남 전쟁의 반기억을 다룬 작품들이 있다. 이들 작품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권위적인 기억에 맞서는 가운데, 아동문학의 관점에서 당대 현실에 대한 서사적 대응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기억이 어떻게 아동 문학 작품 속에서 부활하는지, 그 기억들이 기존의 집단 기억에 어떤 균열을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미래 세대인 아동은 아동문학을 통해 베트남 전쟁을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 전쟁 동화에 드러난 반기억을 살펴보았다. 먼저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억 담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참전 군인을 중심으로 베트남 전쟁 동화에 드러난 반기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로부터 유기된 군사노동자’, ‘집단학살의 기억과 가해자의 반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emory of the Vietnam War reveals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depending on the views taken. To date,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Vietnam War in Korean society has not escaped the borders of national / national narratives. But there are memories that cannot be assimilated into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Vietnam War. This memory is called counter-memory. In the chapter of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works dealing with the counter-memory of the Vietnam W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counter- memory of the Vietnam War is revived in the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how the memories are creating a crack in the existing collective memory.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anti-memory revealed in the Vietnam War assimilation. First, we discussed the memory discourse about the Vietnam War.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anti-memory revealed in the Vietnam War assimilation, mainly with vetera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military workers abandoned from the state’, ‘the memory of the massacre and the reflection of the perpetr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