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세기 초 태동한 한국의 자생종교 원불교는 21세기에 들어 한국의 4대 종단 대열에 합류하였다. 2세기에 접어든 원불교는 국내를 넘어 세계종교로의 발돋움을 준비하고 있다. 본고는 4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에서 2세기를 맞은 원불교의 교화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방안을 논하기에 앞서 지난 1세기의 교화를 살펴보았다. 교조인 소태산으로부터 지난 100년간 역대 종법사별(소태산-정산-대산-좌산-경산)로 교화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먼저, 소태산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을 안고 깨달음(대각)에 기반하여 ‘물질이 개벽되는 시대’에 ‘정신이 함께 개벽’해야 함을 선언하고 과거의 틀을 과감히 깨고 근대의 틀로 교단의 첫 문을 열며 창립 인연 교화에 주력하였다. 정산종사는 암울한 국가 상황 속에 교단을 유지 발전시키며 국내 대도시 주요 거점 교화를 넘어 해외교화도 본격적으로 시도하였다. 대산은 국가의 산업화에 따른 경제성장과 민주화라는 전환의 시기 속에 교단 양질의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교화3대목표’를 실시하여 이는 현재까지도 교화방안의 토대가 되고 있다. 좌산과 경산 시기에는 지속하던 교화성장이 둔화의 단계에 들어섰다. 그런 와중에도 원불교는 40년간 공들였던 ‘군종장교 편입종교’ 인가를 얻었고, 방송교화가 본격화 되었으며 원불교 1세기를 마감하고 희망찬 2세기를 선포하는 ‘원불교100주년기념대회’를 성료하였다. 원불교 역사라 할 수 있는 지난 20세기와 현재, 21세기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원불교의 지리적 배경인 한반도의 20세기는 세계사에서도 괄목할만한 변혁의 시기였다. 이를 잇는 21세기 또한 20세기에 못지않은 변동이 예상된다. 먼저, 냉전 시대의 마지막 국가라 할 수 있는 북한의 변화에 따른 한반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적 변동이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에 의한 세계 경쟁 구도의 변화와 변수가 예상된다. 다음 전 지구적 문제인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이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원불교가 나아가야 할 교화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일단, ‘교화’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작으로 교화구조의 변화 그리고 국내 및 세계교화는 어떻게 대응할지 논하였다.


Won-Buddhism, a Korean religion originated by itself in the early 20th century, joined the nation's four largest religious sects in the 21st century. Won-Buddhism in its second century is preparing to grow into a global religion beyond domestic boundary.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edification ways of Won-Buddhism facing its second century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fore ways, I searched edification of Won-Buddhism in its first century. Edification characteristics were organized by the head dharma masters of the past 100 years. Founding Master Sotaesan declared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based on his Great Enlightenment. Japanese colonial era, he founded Won-Buddhism which had a modern framework, broken the past framework, and concentrated on gathering the founding members. Jeongsan remained in existence of Won-Buddhism in the dismal national situation and focused on the domestic edification of major cities. He also tried to the global edification in earnest. Daesan led a growth of edification in a period of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He made ‘three major goals of edification’, it is still the foundation of edification ways now. In the time of Jwasan and Gyeongsan, a growth of edification was slowing down. Even so during this time, Won-Buddhism was approved as ‘Chaplain officer into religion’, and started broadcasting edification. In addition, it was held a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Won-Buddhism which proclaimed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and the starting of the second century of hope. The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st 20th. The 20th centur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eographical background of Won-Buddhism, was a period of remarkable transformation in the world history. The 21st century is expecting no less change than the 20th. First, there will be the overall chang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transition of North Korea, the last country in the Cold War era. Asl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be a variable causing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global competition. Next, there are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 on. I will explore ways of edification which Won-Buddhism needs to cultivate amid these changes. Following the definition of ‘edification’ in the beginning, transition of edification structure and how the domestic and global edification need to respond to recent changes will b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