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 진화생물학에서 제기되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진화계통수(문화계통수)의 방법론으로 언어의 기원을 분석해 내는 연구 방법론의 틀과 사례를 개괄하고, 한국어의 기원 탐구를 위한 기초적인 문제설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언어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조어의 형태, 언어의 분류, 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의 사회적 관계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준다. 언어 기원 연구에 대한 첫 시도는 역사언어학에서 비교 방법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조어를 복원하는 방법론, 동족어를 판단하는 방법 등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논의가 진행되면서 드러난 방법론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적지 않은 비판을 받은 것도 사실이다. 진화생물학에서도 역사언어학에서와 동일한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했으며, 그러한 문제에 대한 이론적 발전과 함께 통계적 기법의 발전, 컴퓨터 처리 용량의 증대로 인해 최근 새로운 계통수 방법론의 적용이가능해졌다. 베이지언 추측법으로 요약되는 방법론을 통해 최근 답보 상태에봉착한 한국어의 기원 연구도 새로운 도전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한국어와 동족어로서 비교할 만한 대상 언어군을 기존 이론에 근거하여 시론의 차원에서 제안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ltural phylogeny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anguage family, as well as to consider its application to Korean and its adjacent languages. Since the early 2000s, the cultural phylogeny method has been quite successful in clarifying language origins such as the Indo-European and Austronesian languages. Language origin studies can reveal the form of protolanguage, classify language families, and identify the social relationships among its speakers. The first attempt was made by historical linguistics using the comparative method and lexicostatistics. While the comparative method was successful in providing protolanguage reconstruction and the cognate judgement method, it had critical flaws such as the assumption of glottochronology that the change rate of the basic lexicon is more or less constant. Evolutionary biology has faced the same problems while constructing phylogeny and has established several tool boxes to solve recalcitrant problems such as homoplasy and the nonconstant evolutionary rate. We hope to apply the latest phylogeny method (Bayesian inference method) to the Korean language and its adjacent languages (including the so-called Altai language family). We therefore lay out our plans of application and review hypotheses from various lingu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