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강박성향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비난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강박성향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및 우울 경험 질문지의 자기비난 하위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307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온라인 패널 사이트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거부민감성과 자기비난이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강박성향 간 관계에서의 매개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강박성향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강박성향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비난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강박성향의 완화를 위한 거부민감성 및 자기비난 관련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bility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Cm) and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OCT). A total of 307 adul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cales. The data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f PCm on OCT via rejection sensibility and self-criticis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found that self-criticism full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PCm and OCT and also showed that there were dual mediating effects of the media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Study limitation a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mediators mitigating OCT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