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e-learning flipped learning 관광 교과에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충청도에 거주하는 대학생 222매(74.0%) 를 통계처리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설문 문항은 기대일치 19개 (항목 중 인지적 몰입 6개, 개인 혁신성 5개, 자기 혁신감 5개, 차별성 3문항), 지각된 유용성6개, 지각된 용이성 6개, 만족 10개 문항으로 구성 되었고 모든 설문항목은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 까지의 범위를 갖는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자의 기대일치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분석 결과 교수학습자의 기대일치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자의 기대일치 변수들은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분석 결과 교수학습자의 기대일치 변수들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다. 셋째,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자의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분석 결과 교수학습자의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넷째,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 후 교육 기능 및 교육 콘텐츠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분석 결과 교수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 후 교육 기능 및 교육 콘텐츠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다섯째,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자의 지각된 용이성은 교육 기능 및 교육 콘텐츠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분석결과 교수학습자의 지각된 용이성은 기능, 콘텐츠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222 questionnaires completed by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bout flipped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e-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presented in the survey, 19 questions included the following four factors: cognitive immersion, personal innovation, self-efficacy, and differentiation. The number of questions per factor was 5, 6, 5, and 3, respectively. The items used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not at all) to 5 (very much s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variables of flipped-learning students were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ability. Second, the predicted-matching variables of the teaching-learning were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ease of use of flip-learning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ability. Fourth, perceived us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 and content satisfaction after use. Fifth,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ity an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