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타고르는 인류애를 바탕으로 민족주의를 반대했던 시인이자 작가, 교육가, 사상가이다. 그는 서구에서 시작된 제국주의, 식민주의, 민족주의에 맞서 동양의 나라들이 자신의 정신적 가치를 지키며 서로 연대하기를 희망했다. 궁극적으로 그는 배타성으로 상징되는 민족국가들이 자신의 이기주의, 물질주의, 침략주의를 버리고, 동양과 서양이 서로 조화롭게 공존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꿈꿨다. 그런 그의 사상이 담긴 글이 우리나라에서는 민족주의 담론에 기대어 번역되고 변용되었으며 다시 그 글은 오늘날까지 민족주의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타고르가 우리나라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계기가 된 1929년 『동아일보』에 실린 그의 메시지 영어 원문과 그 번역 텍스트부터 2002년 교육기술과학부 검정을 마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동방의 등불」, 그리고 2011년 서울 대학로에 세워진 타고르 흉상 아래 새겨진 「동방의 등불」까지의 글을 수사적 제작물(rhetorical artifacts)로 보고, 원문의 의미와 달리 번역되고 변용된 이 제작물들에 담긴 민족주의 수사학의 의도와 그것이 만들어 내는 효과를 수사학 비평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Tagore was a poet, writer, educator, and thinker who opposed nationalism based on humanist principles. He hoped that Eastern nations—fighting against the West’s imperialism, colonialism and nationalism—could maintain their spiritual values in solidarity with one another. Ultimately, he dreamed of an ideal world where nation-states abandoned their selfishness, materialism, and aggressions, a world where East and West could coexist in harmony. His thoughts were translated in Korea and underwent an ironic transformation, informing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these texts continue to reinforce nationalism to this day. This focused on the intentions of this nationalistic rhetoric in the translation and acceptance of Tagore’s texts. The study included three texts, analyzed as rhetorical artifacts: (1) a text called Tagore’s original “message” and its Korean translation, published in Dong-A Ilbo in 1929, through which Tagore became widely known to the Korean public; (2) a Korean translation of “The Lamp of the East” in a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 completed in 2002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3) a translated poem entitled, “The Lamp of the East,” which was inscribed on a monument featuring a bust statue of Tagore built in 2011 at Daehak-ro in Seoul. This study explored the intentions present in the rhetoric of nationalism and their effects not only in the translated texts but also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acceptance of Tagore’s tex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