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의례 관련 종목을 중심으로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의 양상을 살피고 여러 문제점을 제시한 후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국가무형문화재이건 시·도무형문화재이건 모두 소중한 우리의 문화자산이다. 문화 발전을 통해 문화 강국을 이루기 위해서라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관리는 필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시·도에서 무형문화재를 바라보는 층위의 상이성만큼은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기준이나 원칙 없이 명명된 무형문화재 종목 명칭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종목의 특성 및 전승 지역, 전승 집단의 특성이 드러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효율적인 관리 개선을 위해서 몇가지 지표를 설정하여 무형문화재 개별 종목의 특성을 파악하고, 성격이 같은 종목은 묶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표 설정은 새롭게 원칙을 정할 것이 아니라, 현재 지정되어 있는 개별 종목의 실태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혼란이 적다. 아울러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 통합이 이루어진다면 통합무형문화재 제도와 무형문화재자료 제도의이중적 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기량이 부족하다 하여 기지정된 무형문화재 종목을 배척할 수는 없다. 모든 종목을 받아들여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서라도 효율적인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 문화재청은 전승자 중심의 무형문화재 정책에서 탈피하여 무형문화재 종목 중심의 정책을 펼칠 것을 예고한 바 있다. 앞으로 국가무형문화재는 전승자 개인 중심이 아니라 전승 종목과 전승 지역의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이 수립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도에서는 아직 이러한 인식이 없다. 인식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 국가무형문화재 정책 담당부서와 시·도무형문화재 정책 담당부서의 유기적인 협조가 있어야 하지만 아직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의 정체성을 찾고 통합을 위해서 대화와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이다. 이 글에서 제시한 여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대화와 협력이 있음을 전제로 한 것임을 거듭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national as well as city/do intangiblecultural heritage with the items of rituals, discuss several problems they present, and suggesthow to integrate them. Both national and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our preciouscultural heritage. To make our country a cultural power through cultural development, it isnecessary to pay keen attention to and manage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bove all, the difference of strata to view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nationallevel and on the city/do should be improved.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ames of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had typically been named with no criteria or principles. We should find ways to reveal thecharacteristics of items, regions where they have been transmitted, and also the characteristicsof transmitted groups. To improve their management mor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deviseseveral index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and manage them through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o lessen confusionin establishing the indexes, we should not come up with new principles but adopt an inductivemethod based on the actual status of individual items currently designated. Furthermore, onc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integrated with city/do intangiblecultural heritage we need to operate a dual system of an integrated system for intangiblecultural heritage, and a system for material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should notexclude the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ready designated due to lack of capacity. To accept all the items, and find new ways requires an efficient system operation. The CulturalHeritage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that it will implement a policy centering around the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ot centered around the transmitter. From nowon, it seems that the policy f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be made by focusing not on the transmitter, but on the items being transmitted and the community of the regionwhere they have been transmitted. But there is no such awareness yet in the city/do level. Tonarrow the gap in recognition, the divisions in charge of policy f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nd for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cooperate organically, which is notthe case currently. Therefore, now is the time to find the identity of both national and city/do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eek convers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sake of integration. This author repeatedly tells you that several problems and sdutions presented in this thesis takeconversation and cooperation as pre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