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입사(入絲)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활발하게 사용된 공예의 장식기법 가운데 하나이다. 기물의 표면에 음각(陰刻)을 하고 음각 홈에 색 또는 물성이 다른 재료를 넣어 장식하는 감입법(嵌入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보석감장·도자의 상감·칠기의 나전·평탈·창금 기법 등과 근간이 동일하다. 이러한 시문 특성은 바탕재와 장식재의 색채 및 질감 대비를 통한 선과 면의 선명하고 유려한 표현을 동반한다.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폭이넓고, 곡선·직선·면 등 시문 가능한 문양이 다채로워 우리나라는 물론 여러 문화권의 공예 장식에 고루 활용되었다. 또 각 지역의 산출 재료와 향유 문화에 따라 감입방식과 표현에 차이가 있어, 기법이 지닌 넓은 스펙트럼과 개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입사공예에는 이를 제작하고 향유했던 이들의 문화와 사회상, 삶이 내재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雕刻匠)과 제78호 입사장(入絲匠) 분야에서 입사기법이전승된다. 두 종목 모두 감입(嵌入)을 기본으로 하지만, 현재 통용되는 작업에 대한 인식과 근간에는 차이가있다. 조각장은 조이질을 바탕으로 금속세공 전반의 작업을 하는데 입사기법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반면 입사장은 금속공예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입사작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사서(史書) 및 유물을 검토해보면 입사장은 금속은 물론 다른 바탕재료로 제작된 공예품 전반의 입사장식을 담당했음이 확인되어, 현재의통념과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통념의 차이는 전통 공예가 지닌 기본적 특성이 아닌 주요 재료를 기준으로 하는 근대식 공예 분류법에 따라 이뤄진 인식 및 해석의 혼동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입사공예 및입사장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과거부터 이어온 입사 전통의 기법적 기반과 역할, 작업양상에 대한 문헌, 유물 분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까지 입사장의 역할과 작업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금속으로 바탕재를 사용한 기물의 장식기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입사의 시문 범주와 입사장의 작업범위는 현재의 인식에 비해 광범위했다. 문헌과 명문(名文)을 비롯한 여러 자료들은 현재와는 다른 넓은 인식의폭을 뒷받침해준다. 본 논문은 문헌 및 유물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사실과 근거를 토대로, 입사장의 법전(法典)명문화가 확인되고 자료가 이전 시대에 비해 비교적 풍부한 편인 조선시대 입사의 기법 및 조각장과의 유기적관계를 분석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입사장의 역할과 작업범주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했다.


Ipsa(入絲)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decorative techniques in metal art in both the Eastand the West. It is based on the art of inlaying, which involves inserting materials, colors or othersubstances that differ from those of a given object into that object. Examples include the inlaying ofchina,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pyeongtal, or gold-inlaid lacquerware. The processconsists in engraving lines or planes on the surface of an object, and then inserting decorations thatare usually a metal with a different color, texture, material, or properties, and a mixture of metal andpigment. This creates a color contrast in the object that highlights the decorative effects of elegantlines and planes. Therefore, the methods of inlaying and how materials are expressed can differdepending on the regional culture or the ingredients produced. This implies that the ipsa techniquehas a tremendously wide spectrum and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 of ipsa has been handed downfor many generations to the present day. As such, the tradition of a particular technique is connectedwith the culture, society and daily life of the time in which it was originally enjoyed. Currently in South Korea, the ipsa technique has been preserved in metal engraving as National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5 and in inlaying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78. However, although both are based on insertion, they diffe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and foundations of the work involved. For instance, metal engraving involves doing the generalmetalware work based on joijil, and the ipsa technique falls under this category. In contrast, inlayingfocuses on ipsa work, decorating the surface of an item of metalware. This may have originated in thedifferences between metal engravers and ipsa craftsmen that existed prior to the Joseon Dynasty, andconfusion caused by today's interpretation and perception of them. Therefore, to accurately analyzethe art and technique of ipsa, and to identify the technical foundation, roles and work tendencies oftraditional ipsa, it is necessary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ipsa craftsmen through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ipsa up to the Joseon Dynasty by studying the relevant literatureand artifacts. This paper seeks to reinterpret the scope of the ipsa technique by focusing on the work of ipsacrafts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cope of the ipsa technique, which is currently perceivedas a decorative method of metal art, turned out to be broader than was widely thought. Existingliterature and artifacts show that ipsa craftsmen were in charge of inlaying not only metal but alsowood and stone-made craftworks. This implies that the use of the ipsa technique was wider than iscurrently thought.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the ipsa technique, andthe name and scope of ipsa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reinterprets the scope andcharacteristics of the ipsa technique through literature and artifacts of th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