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으로 발생한 전쟁고아를 둘러싼 북한의 고아정책과 실천을 살펴 사회적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표적 당기관지인 『로동신문』에 실린 전쟁고아 관련 기사를 전쟁 시기와 재건 시기로 나누어 분석했다. 전쟁기간 동안 생겨난 수만 명의 전쟁고아의 대응방식에 있어 북한의 고아 정책은 국내와 국외로 이분화되어 진행되었다. 국내에서는 입양을 독려하였으며 국외로는 형제 나라로 불리는 사회주의 국가들에 위탁양육을 요청하여 고아의 돌봄을 실천하였다. 북한은 전쟁 이후 재건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유자녀학원을 설립하고 해외로 맡겼던 전쟁고아들을 자국으로 송환하여 돌봄과 공교육을 동시에 실천하였다. 북한은 전쟁고아 정책을 선전함에 있어 남북한 전쟁고아의 정책과 실천방식을 비교하며 사회주의 체제 우위의 징표로 강조하거나 내부 인민들을 결속시키는 통합의 기제로 삼았다.


This study examined North Korea's policies and practices surrounding war orphans created by the Korean War in the Korean Peninsula to determine the social implications. For the study, articles related to war orphans published in the North Korean paper, the Rodong Sinmun,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rticles from the war period and those from the reconstruction period. In response to the tens of thousands of war orphans, North Korea adopted an orphan policy that focused o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In Korea, the government encouraged adoption and requested foster care from socialist countries called brother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reconstruction after the war, North Korea established a children's school, while also dispatching war orphans abroad to receive care and public education. In promoting the war orphan policy, North Korea emphasized that the policies and practices concerning war orphans were a sign of socialist system supremacy or a mechanism for uniting the local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