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도입된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행 오적용 양상을 파 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슬로리딩, 온 작품/온 책 읽기, 지속적 묵독, 꼼꼼하게 읽기, 독서 워크숍’등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동의어는 아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실 행과 오적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7월 30일부터 2019년 8월 12일까지 설문 조사를 수집하 였다. 조사는 초등학교 교사 및 관리자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및 관리자는 지역별로 유층표집하였다.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현장에 의미 있게 정착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개념 인식 차원에서는 도서 선정 주체의 학생 자율성 확대, 독 서 참여 방식의 다양화, 한 학기 한 권 읽기 실천율 재고, 교과 시간에 주로 책 읽기, 정보와 문학의 장르의 균형적 독서, 학년군 이수 차시를 충분히 확보하고, 도서 수도 적정화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함양 차원에서는 학생 도서 선정 방법, 한 학기 한 권 읽기 단계별 지도, 주제 중심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도, 주체적인 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지도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되 어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 확충 차원에서는 다양한 독서 참여 방식을 고려하여 도서 구입하고, 한 학기 한 권 읽기 적용 다양한 사례집을 지원해야 한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misappropriation patterns of reading a semester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The survey surve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proposed a way for “reading a semester” to settle meaningfully in the field. First,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cept of reading a semester, students can increase their autonomy in book selection, diversify their participation in reading methods, reconsider the practice of reading a semester, read books mainly during the class, and balance the reading of information and literature genres. In addition, sufficient time of grade level completion classes should be secured. Second,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be improved in the selection method of student books, the reading of each semester, the reading of the subject-based semester, and the critical reading to grow as a independent reader. Third, in order to expand the physical environment, books should be purchas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ways of participating in reading, and various case books applied for reading per semester should be sup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