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마을신앙의 조사와 기록화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시론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신법 체제 하에서 야기될 수 있는 마을신앙의 전승 문제를 간략하게 검토한 다음, 마을신앙 조사와기록화의 방향에 대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여덟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마을신앙이 갖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공동체성이다. 따라서 마을신앙 조사에 있어서무엇보다 강조되어야할 점은 전승공동체 기반의 기록화가 아닐 수 없다. 이는 곧 전승공동체가 인식하는무형유산의 내용과 의미를 중시하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정신과도 긴밀하게 맞닿아 있다. 무형유산으로서 마을신앙의 조사와 기록화는 통시성에 주목하면서도 현재의 전승모습을 밀도있게 포착하는 것이 긴요하다. 특히 마을신앙의 통시적 측면을 고려한다면 전승주체들이 남긴 기록물이야말로 기존의조사와 기록화의 한계를 메울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거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신앙의례의 기록화를 위해 마을신앙 범주 및 조사대상 확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olk belief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establish an effective way to document them. First of all, the problems on the transmissionand preservation of folk beliefs, which might be able to be caused under the new law (Act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examined in brief. In addition, 8 measures on how to research and document them are proposed in overallperspective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folk belief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collectivity. Therefore, when carrying out research, an emphasis on their documentationshould be definitely put in the first plac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of the UNESCOConvention, which emphasizes contents and mean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arerecognized and shared by the community concerned. The research and documentation on folk beliefs should be focused on their diachrony, butat the same time the effort to maintain their present status is desperately required. Therecords, especially considering their diachronic aspects, will serve as useful material toreach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study and documentation. Finally, the paper exploresseveral cases regarding their transmission and thereby suggests extending their categoriesand research materials,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