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을 플립러닝의 주요 변인으로 상정하고 학습몰입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K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A과목을 수강한 학부생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거된 설문지 중 연구목적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31부를 제외한 395부에 대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학습활동은 자기주도학습 및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수업에서 팀학습활동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습몰입 및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학습활동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기주도학습이 이들 사이를 완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학습활동은 성취도에 직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하여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eam activity,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in flipped learning course. We collected data from 426 students of A class of K university in Chung-nam region, and used the response of 395 students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 activity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eam activity was not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arning flow. Third, self-direc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Fourth, team activ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forming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found to play a full mediator role between team activity and learning flow. Fifth, team activ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irect &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forming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or role between team activity and learning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