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임금노동자의 일과 여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의 본조사 및 부가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요인은 정규직인 경우, 근로시간이 감소할수록, 근로소득이 증가할수록, 일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있어서는 일-생활 갈등, 금단증상, 불편함이 적을수록, 완벽주의, 업무애착, 통제는 높을수록 임금노동자가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와 관련된 변수는 여행․관광․나들이, 직접한 운동, 스포츠, 관람, 종교활동, 가족․친척 모임 활동에 참여한 경우 임금노동자가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모형에서는 여성인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기혼인 경우,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 정규직인 경우, 근로소득이 증가할수록, 일-생활 갈등, 금단증상, 불편함이 감소할수록, 완벽주의, 업무애착은 증가할수록, 여행․관광․나들이, 직접한 운동, 스포츠, 관람, 종교활동, 가족․친척 모임 활동에 참여한 경우 임금노동자가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과 여가를 통한 임금노동자의 행복을 증진하는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전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wage workers’ work and leisure on their happiness. For this purpose, the 17th and 18t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data were use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regression analysis, i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female, with a spouse, the younger the age group, and the higher their education, the higher their happiness was. In the job factors, regular job status, earned income, perfectionism, and attachment to work had positive effects, while work-life conflict, withdrawal symptoms, and discomfort had negative effects on happiness of wage workers. In the leisure factors, travel, tourism, outings, sports, watching sports, movies and performances, religious activities, family and relatives meeting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happi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happiness of wage workers through work and lei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