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의 소위 ‘계사문’의 의미구조에 따른 분류 체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먼저 계사와 계사문을 정의한 후 계사문을 구성하는 명사구의 의미를 개관하고 한국어 계사문을 분류하였다. Higgins(1979)와 西山(2003)의 의미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계사문을 서술문, 지정문, 식별문, 동일문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대해 적절한 한국어 예문을 제시하며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지정문의 분석 과정에서 소위 분열문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논문의 후반에서는 일본어와의 대조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고유한 특징을 밝혔는데, 두 언어의 계사문은 의미론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도 조사의 쓰임 등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다. 지면 관계상 다루지 못한 다양한 유형의 계사문 분석은 남은 과제이다.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semantic taxonomy of Korean copular sentences. The meaning of the copula and NPs is discussed before the classification of copular sentence types. Following the foundational arguments of Higgins(1979) and Nishiyama(2003),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copular sentences are split into four different types: predicational, specificational, identificational, and identity sentences. A detailed analysis is given for each type of sentences through proper examples. The cleft structure is also examined regarding the specificationals.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is a significant issue of this paper due to the fact that Korean copular sentences have their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n the use of particles compared to Japanese ones. Further arguments with many other copular sentence types will be studied in a future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