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Multiplicity/Many”(여럿) 개념은 철학의 탄생 시점부터 오늘날까지이어져 온 가장 근본적인 존재론적 개념들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 개념은전통 철학에서 “Singularity/One”(하나) 개념과 짝이 되어 논의되었고, 또대개의 경우 이 ‘하나’에 종속된 형태로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 철학에서는 하나로부터 해방된 여럿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으며(‘내재성의존재론’), 이 과정은 곧 ‘여럿’ 개념을 새롭게 변환시키는 작업을 토대로 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새롭게 개념화된 여럿이 곧 ‘다양체’ 개념이다. 본 논문은 들뢰즈가 전개한 ‘잠재적 다양체(multiplicité virtuelle)’ 개념이 앞으로는 리만, 베르그송의 다양체 개념과 그리고 뒤로는 들뢰즈와가타리의 ‘매끄러운 공간’ 개념과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이로써 리만으로부터 들뢰즈와 가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체 개념이 변환되어 온 과정 전반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이 개념의 현대적 형태를 창조해낸 리만으로 거슬러 올라갔다. 리만 다양체는 현대 기하학의 효시이자 일반 상대성 이론의수학적 토대로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마이농, 후설, 러셀, 베르그송 등 여러 철학자들 역시 이 개념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리만의 기하학적다양체와 들뢰즈의 잠재적 다양체 사이에는 베르그송의 ‘질적 다양체’ 개념이 놓여 있고, 때문에 본 논문은 우선 리만 다양체로부터 베르그송 다양체로의 이행을 다루고 이어서 베르그송의 질적 다양체와 들뢰즈의 잠재적 다양체의 차이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는 들뢰즈의 잠재적 다양체 개념이 어떻게 들뢰즈와 가타리의 매끄러운 공간의 개념으로 변환되었는가를 밝혔다.


The concept “many”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concepts of ontology, which has been continued from the time of the birth of philosophy to our time. This concept has been coupled with that of the “one” in the traditional philosophies, and usually been treated as is subordinated to it. But in contemporary philosophy, the discussion on the many that is liberated from the one has been continued(“the ontology of immanence”), and this process is based on the task of newly transforming the concept of the many. The newly conceptualized many through this process is “multiplicity”, or “manifold” in mathematical context. This article tried to clarify the concept of “multiplicité virtuelle” that was forged by Deleuze, comparing it first with prior concepts of Riemann’s manifold and Bergson’s qualitative multiplicity, and second with posterior concepts of Deleuze and Guattari’s smooth space. By this it tried to explicate the entir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is concept from Riemann to Deleuze and Guattari. For this, this article went back to Riemann who created the modern form of this concept. The Riemannian manifold is well known as the beginning of modern geometry and as the mathematical foundation of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But such philosophers as Meinong, Husserl, Russell, Bergson were also influenced from this conception. Especially, between Riemann’s geometrical manifold and Delueze’s virtual multiplicity, there is Bergson’s qualtative multiplicity. By this reason this article discussed first the transfer from Riemannian manifold to Bergsonnian multiplicity, and second cla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ter and Deleuze’s virtual multiplicity. Finally, it tried to explicate how Deleuzian concept of the virtual multiplicity had been transformed into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the smooth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