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및 경기침체 등에 따른 사회적인 환경변화와 생존위기에 직면하면서 대학의 조직체계를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대학입학 학생 수의 감소와 일부 대학의 폐교에따른 위기감을 극복하고 심각한 사회적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갖추는데 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십유형과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의 조직문화유형이 발전문화와 합의문화 유형일 경우 교직원의 직무만족은상승하였고, 위계문화일 경우에는 하락하였다. 또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일 경우 직무만족은높아졌고, 거래적 리더십일 경우에는 낮아졌다. 리더십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국립대학의 경우 거래적리더십이 부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반면, 서번트 리더십은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사립대학의 경우 거래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은 긍정적인 영향력이, 변혁적 리더십은 부정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교직원의 직무소진이 많은 변화를 보였고, 거래적 리더십을 억제시키면 교직원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리더십은 대학교 교직원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the nation’s universities have focused on capacity building as they face social changes and survival crises stemming from low birthrates, aging populations, and the economic downturn. In particular, the school aims to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college-bound students and the closure of some universities, and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ystem to cope with se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ship style and job burnout was studied on the effect of university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job satisfaction of staff.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aculty members increased w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f the university was the development culture or the consensus culture type, and decreased when the culture was hierarchical.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but decreased i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the effect of leadership on job burnout,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a negative impact on national universities, and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In the case of private universities,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whi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negative impact. Therefore, through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the job burnout of the staff showed a lot of changes, and the suppress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howed the mediating effect of reducing the job exhaustion of the staff. Therefore, leadership was analyz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a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