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기후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경제적 손실산정 접근법을 활용하여 미래 수자원 관리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지역 또는 계층 간에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영향이 사회 및 자연생태계 시스템에 미치는 파급력은 점증하는 경향이 있기에 지역별로 받는 영향을 보다 세분화하는 작업을 통해 수자원 대책에 대한 비용분담과 이에 대한 효과를 고려한 수자원 관리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질오염 관리 대책의 최신 연구 동향을 개관하고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수질오염이 초래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새로운 거시경제모형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우유형 변화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수질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투입되어야 할 산업별 수질 개선비용을 기후 시나리오별(RCP 4.5, 8.5)로 추정하고 미래시점인 2030년과 2050년의 지역간 경제모형구축을 통해 파급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수질오염 개선비용을 지역이나 산업별로 산정할 때 유효한 기준이 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탄력적 산업연관 방법론으로 미래시점 산업구조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반영한 모형으로 수질 관리 대책을 평가하면 장기적으로 나타날 기후변화 영향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현재 시점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되어 현실적인 수자원 관리 대책을 지역별로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criterion to be applied for the future water management, using a new economic model that measures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the future uncertainty stemming from the climate change. Especially, because climate change affects regions and classes differently,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social, economic and natural systems both globally and locally, which ensures the cost allocations to each area and social classes in terms of water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introduced new studies conducted in the water management field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applied a new macro-economic model, flexible input-output model (FlexIO), that measures economic losses stemming from water pollution and the cleaning cost after combining with RCP scenarios (4.5 and 8.5) and two future years of 2030 and 2050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id information on the cost allocation needed for water cleaning.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eparing proper, realistic financial allocation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t the current point for water management by measuring the future benefit of water management by sector and by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