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소비에 관한 이론을 검정하거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처분가능소득대비 소비지출로 정의되는 가계소비성향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한국은행 국민계정의 소비성향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소비성향은수준면에서 20%p 내외의 큰 격차를 보이는데다 변화의 방향도 일치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방식의 개편으로 2017년 이후의 소비성향을 그 이전과 연속적으로 비교 관찰할 수 없게 됨으로써 소비성향에 대한 보정 지표 개발의 필요성은 더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두 기관의 소비성향에서 나타나는 격차의 원인을 파악한 뒤 서로 근접한 소비성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소득과 소비에 관한 12개 항목을 보정하여 소비성향을 산출하였는데, 보정 후에 격차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2016년 기준으로 국민계정과 가계동향조사의 보정된 소비성향은 각각 80.5%와 74.8%인 것으로나타났다. 다만 보정소비성향 간의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변화의 방향에 있어서는 여전히 차이가 사라지지 않고 있는데, 가용한 통계를 동원하여 소비성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ned an acurate measure of the propensity to consume (household consumption divided by disposable income) when designing policies having impacts on household consumption as wel as testing macroeconomic theories. However, there are signifcant discrepancies betwen the two propensites in the National Acounts of the Bank of Korea and the Household Survey of the Statistics Korea. The average diference over the period from 190 to 2016 is about 20%p, and the two even show diferent trends in direction. Furthermore, major revisions on the method of household survey starting from 2017 have made it dificult to use the consumption propensity series continuously in micro level studies. In this paper, we have identified the reasons for the discrepancies and tried to fil the gap betwen the two statistics. After 12 major adjustments of diferences in concepts of income and expenditure, we signifcantly reduced the gap. The average propensites to consume of the National Acounts and the Household Survey are 80.5% and 74.8% in 2016, respectively. Nevertheles, two adjusted series stil diverge during some period of time. The further adjustments are necesary to avoid measurement problems and observe spending behavior of households co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