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 윈난성 쿤밍시에서 가장 큰 호수인 뎬츠(滇池)에 대한 보호를 비롯한 공중의 참여활동 중에서 민간 환경단체-녹색곤명을 사례로, 자원동원론의 시각으로 참여과정에 자원을 어떻게 동원하면서 성장하였는가를 살펴본다. 단체가 생존하고 성장하려면 다양한 자원을 소유함과 아울러 자원을 충분히 동원하여야 한다. 이런 자원들은 또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면서 단체활동 전개의 특성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전제조건, 재정적 자원, 인적 자원, 사회적 자원을 토대로 뎬츠보호의 주요한 행위주체‒녹색곤명의 뎬츠보호 활동의 전개에 대한 분석이 중심을 이룬다. 연구결과 녹색곤명은 합법적인 지위를 취득하여 새로운 자원을 얻을 수 있는 정치적 기회구조를 확충하고, 재정적 자원은 주로 민간 기금회의 자금 지원을 통해 얻는데 이러한 자금조달은 프로젝트를 비롯한 참여방식이 된다. 인적 자원의 동원을 볼때 구성원은 주로 자원봉사자들인데 이러한 특성은 인력동원이 용이하고 자발적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단체 발전의 지속성을 보장하며, 사회자본의 형성을촉진할 수 있다. 사회적 자원으로는 주로 뉴미디어를 활용했는데 전파속도가빠르고 전파범위가 넓어서 공론장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중국에서 공중참여에 대한 제도적 보장은 이미 갖춰져 있고, 정치적 기회 구조는 질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정부의 집권이념의 변화가 시민사회의 성장을추진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takes the private environment organization--Green Kunming as an example, to explore the growth of resources by mobilization. The study includes a public participation activity--Protecting Lake Denz, the largest lake in Kunming, Yunnan Province. To ensure this organization survive and thrive, we must have sufficient resources and are able to mobilize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Green Kunming ancestry conservation activities based on institutional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social resources. These resources are organically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are characterized by collective action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Green Kunming is limited by institutional resources, but this is also a prerequisite for obtaining legitimacy and obtaining new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are mainly funded by private fund meetings. and these funds are a major participatory survival method including projects. In mobilizing human resources, the members are mainly volunteers. Doing this will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group development, promot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fully mobilize new media as a social resourc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growth of citizens in our society, and hope to use it as an indicator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political structure openness to the Chinese public participation and the degree of democratization in the public sp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