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수출업자가 수입업자에게 제공하는 인센티브를 금전적 인센티브와 비금전적 인센티브로 구분하고, 각 인센티브의 효과성을 조사하였다. 즉, 금전적 및 비금전적 인센티브 수준이 모두 높은 경우와 어느 한쪽의 인센티브만 높은 경우, 그리고 두 인센티브 수준이 모두 낮은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수입업자 역할수행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126개의 한국수입업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 검증한 결과 금전적 및 비금전적 인센티브 수준이 모두 높은 수입업자들이 수출업자들로부터 가장 높은 만족도 평가를 받았고, 나머지 경우에는 수입업자들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곧 수출업자에게 제공하는 인센티브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금전적 인센티브와 비금전적 인센티브를 동시에 제공해야함을 시사한다. 금전적 인센티브만 제공하거나 비금전적 인센티브만 제공해서는 인센티브의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centives provided by the exporter on the importer performance. Importers who are offered the high levels of monetary and non-monetary incentives are hypothesized to exhibit the highest performance while importers who are offered low levels of monetary and non-monetary incentives are hypothesized to exhibit the lowest performance. The remaining importers high in only one of two incentive types are hypothesized to exhibit the medium level of performance. The hypotheses are tested using 126 Korean importers. Importers high in both monetary and non-monetary incentives were found to demonstrate the highest performance. However, no performance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remaining three groups of import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orters should provide importers with non-monetary incentives as well as monetary incen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