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중고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시민참여 학습의 계열성을 분석하였다. 시민참여 학습을 내용 지식과 학습 활동을 구분하여 계열성의 핵심인 학교급간 내용 폭의 확장과 깊이의 심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민참여 학습 내용 지식 중에서 ‘시민참여의 의의’는 계열성이 유지되었으나 ‘시민참여의 방법’에서는 폭과 관련한 계열성이 지켜지지 않았다. 시민참여 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에서 ‘학습 제재의 공간적 범위’ 에서는 계열성이 나타났으나, ‘학습 활동의 실제성 정도’와 ‘학습 제재의 학습자 관련성’에서는 계열성이 유지되지 않았다.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과 학교급간 내용을 조직할 때 주요 내용요소 수준에서라도 계열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 활동의 계열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계열화 원리가 내용 조직의 다른 요구와 상충될 경우 이를 조정하는 지침이 필요하다. 넷째, 계열성 측면에서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내용 조직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equence of citizen’s participation present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examined the scope and depth of contents, which is the core of the sequence. In the knowledge of civic participation, sequence of significance of citizen’s participation was maintained, but sequence of method of citizen’s participation was not maint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quence, the degree of authenticity of learning activities and relevance of learners to learning subject were not maintained, but the spatial scope of learning sanctions was maintained. The study suggests four 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rst, when organizing content by school level,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equence even at the main concept level. Second, further research on the sequence of learning activities is needed. Third, if the principle of sequence conflicts other principles of contents organization, guidance is needed to coordinate it.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integrated society” in terms of the seq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