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영어 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4주간의 교육실습 기간 동안 운영할수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하여 그 효과를탐색하였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는 두 명의 영어교육 심화과정의 4학년 교육실습생과 멘토 교사로 한 명의 영어전담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 분석을 위하여 실습생들의 상호 및 멘토 수업 참관록, 반성적 수업 성찰록, 인터뷰응답과 멘토 교사와의 협의회 및 SNS 상의 협의 내용, 소속 대학교 실습 지도교수의 수업 참관록 및 피드백이 데이터로사용되었다. 학습공동체 활동을 기반으로 한 단기간용 초등영어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준비, 실행, 평가 및 성찰의세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는 몇 가지의 하위 요소와 구체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분석 결과 발견된바는 다음과 같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실습생들은 주어진 상황 속에서 공동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면서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이 심도 있게 진행되어 교육과정 문해력이 신장되었다. 이들은 멘토 교사의 수업, 교육실습생상호간의 수업을 관찰하고 토론하며 실제적인 상황 속에서 진행하는 교수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교육실습생들은다양한 수업 현장에서 마주치는 도전을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멘토 교사와다른 실습생으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상호 협력적 관계 속에서 교사로서, 나아가 영어 교사로서의정체성 형성에서도 성장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영어수업에도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4학년 교육실습에서 초등영어 심화과정 학생들을 위한 차별화된 실습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community program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ur-week teaching practicum for enhancing pre-service primary school English language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its viability thr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wo 4th grade seniors as practice students and an English teacher as a mentor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Practice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 logs, reflective teaching journals, and the interview responses, and comments from the other practice teacher, the mentor teacher, and a visiting professor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short-term primary English teaching program based on the learning community consists of three stages of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reflection. Each stage includes a few subcategories and activities entail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actice teachers in the program showed advances in the curriculum literacy from their strong involvements in the exploration of the curriculum writing lesson plans together in the given classroom situations. They showed improvements in English teaching competencies sharing opinions after observing the mentor teacher’s and the other colleague’s English classes. In the meantime, the practice teachers got the emotional supports from the mentor teacher and the colleagu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challenges faced in the real English teaching situations. They also got to have confidence in teaching English experiencing growth in forming healthy sense of identity as a teacher and as an English teacher. Based on the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such as reasons for the necessities of a specifically designed practicum program for the practice teache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