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구어 어휘 다양성을 측정하고 이어서 학습자의 심리적 요인및 사회적 요인과 구어 어휘 다양성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mini-TOPIK을 활용한 숙달도 측정에서 동일 수준임을 확인한 중국인 학습자 12명과 미국인 학습자 12명의 구어 자료를 수집해 어휘 다양성을 어휘유형, 어휘구현, D값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심리적 요인은 mini-AMTB, 사회적 요인은 SASIQ를 통해 측정하여 어휘유형, 어휘구현, D값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심리적 요인에서 도구적 동기가 세 측정값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 중에서는 한국어 소통 시간, 접촉 빈도 및 강도가 어휘 다양성의 세 측정값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 거주기간은 어휘 다양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구어 어휘 다양성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의 도구적 동기, 목표어 접촉 시간과 접촉 빈도 및 강도가 교실 수업과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speaking lexical diversity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lexical diversity and L2 Korean learner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e study collected speaking data from 12 L2 Korean Chinese learners and 12 American learners who were proven as same level learners by using mini-TOPIK. Lexical diversity was analyzed by types, tokens, and D value. Mini-AMTB and SASIQ were applied to measure learne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respectively. As results, this study found out that (i) learners’ instrumental motiv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ypes, tokes, D value, (ii) L2 contact time, contact frequency and strength had strong correlation with D value. This study claimed, based on those results, that instrumental motivation, L2 contact time, frequency, and strength should be considered as engine to elaborate speaking lexical diversity in classroom practice and learners’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