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그동안 울릉도·독도 연구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안동의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는 순천장씨 학서주손가(鶴棲冑孫家) 기탁 문헌들 가운데서 1694년 울릉도 수토를 하였던 장한상(張漢相) 관련 자료를 소개하면서, 필자가 경덕사 자료만을 참고하여 발표한 기왕의 연구에서 잘 못추정하여 기술한 사항들을 수정하고, 또 필자의 기왕의 연구를 집중적으 로논박한 논문에 대해 필자의 관견(管見)을 재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순천장씨 가문의 문헌록 편찬이 족보 편찬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1900년 경자보의 편찬과 함께 『충효문무록』이 편찬되었고, 그후 계속하여 족보가 편찬될 때마다 문헌록도『승 평문헌록』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편찬되었다. 둘째, 『충효문무록』의 편목에 「절도공양세실록」이 처음으로 편성되었으며, 이후 『승평문헌록』에 「절도공실록」과 「소절도공실록」으로 나뉘어 계속등재되었다. 셋째, 경덕사 소장본 『절도공양세실록』과 같은 내용의 또 다른 필사본『절도공양세실록』이 학서주손가 문헌 속에서 나왔는데, 아마도『 충효문무록』을 편찬하면서 경덕사본 『절도공양세실록』을 사용하고 나서 한 부를 필사해 놓은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넷째, 「울릉도사적」 및 『서계잡록』 「울릉도」와 관련한 필자의 주장에 대한 유미림 박사의 비판에 대해 재반론을 하여 필자의 기존 견해를 견지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literary collections about General Jang Hansang's Ulleungdo and Dokdo patrol governance in 17C Josun Dynasty, which the Suncheon Jang Family Hakseojusonga trusted to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in Andong. First, it is confirmed that compilations of the literature of the Suncheon Jang Family were done periodically along with compilations of its genealogy. In 1900, Record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忠孝文武 錄) was compiled at the same time with the compilation of Gyeongja-bo (庚子 譜), and since then, it has been continuously compiled under the name of Literary Records of the Suncheon Jang Families (昇平文獻錄). Second, the chapter of “Real Records of the Two Generals”(節度公兩世實錄) from the identically entitled book of Real Records of the Two Generals (節度公兩世實錄) was first compiled in Record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忠孝文武錄), and was later included into the Literary Records of the Suncheon Jang Families (昇平文獻錄) as separated into two chapters of “Real Records of the General”(節度公實錄) and “Real Records of the Young General” (少節度公實錄). Third, another manuscript of Real Records of the Two Generals which was presumably copied from the identically-named book in the collection of Gyeongdeoksa Shrine is in Suncheon Jang Family Hakseojusonga literary collections. Fourth, I present an argument against the criticism of my research on “Track Records in Ulleungdo Irelands”(蔚陵島事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