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인터넷 게임과 관련된 국내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특수교육대상자의 인터넷 게임에 대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학술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목록을 수집하였다. 선정된 70편 논문은 키워드 클렌징 작업을 거쳐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키워드 간 연결중심성을 시각화를 위해 NodeXL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70편의 논문에서 총 316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키워드로는 ‘지적장애’, ‘기능성게임’, ‘장애인’, ‘체감형 게임’, ‘청각장애’과 ‘스마트폰’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Wakita-Tsurumi 알고리즘 클러스터 방식을 선택하여 집단을 유목한 결과 총 25개의 그룹이 구성되었다. 그리고 구조화된 서면 인터뷰를 9명의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은 개별 차이가 컸으며, 장애로 인식되는 것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스마트폰과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인식과 수준을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들의 인터넷접근 및 게임에 보내는 시간의 비중을 고려할 때 연구자와 현장교사들에게 많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papers related to internet game research for the disabled and to examine specific research trends, an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on internet game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rou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expert interview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list was collected by using the database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Academic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 from 2000 to 2019. The 70 research subjects selected for analysis were keyword cleansing and extracted key keywords using KrKwic program, and NodeXL program was used to visualize the connection centrality between keywords. As a result of analysis, a total of 316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70 papers, and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intellectual disability', 'functional game', 'disabled person', 'feeling game', 'deaf' and 'smar-tphone'. 'Appeared in order. In addition, a total of 25 groups were formed as a result of nomadic grouping using the Wakita-Tsurumi algorithm cluster method.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9 selected special teachers through structured written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awareness and level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smartphone and internet use. Based on the results of responding with nine categorized themes, the study explored ways to be meaningful and useful in special education such as smart-phone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and contents development us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