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라 在城은 신라의 왕성으로 알려져 있는 月城의 별칭을 기록한 차자표기다. 月城은 신라 5대 왕인 婆娑王 22(101)년에 축성되었다고 한다. 월성의 별칭을 기록한 신라 在城에 대한 언어적 선견으로서 李丙燾(1931)가 있다. 선견에서 고려의 在城은 ‘견城’으로 읽히는 것이며 ‘임금이 계시는 城’이라 이해하였고, 나아가 신라 在城도 이와 같은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 견해가 마치 통설로 받아 드려져 신라 在城에 대한 언어적 이해에 인용되기도 한다. 고려 시대에 在의 차자 가치가 ‘*겨~*견’으로 밝혀지고, 고려 在城이 ‘임금이 계시는 城’이라는 환유적 인식이 가능하므로 선견은 설득력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고려 在城에 대한 이와 같은 선견에 동의할 여지가 많아 보이나 신라 在城은 고려 在城과 달리 이해되어야 할 독자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신라 在城은 그 독자성에 따라 차자 가치가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관점이다. 월성의 별칭을 기록한 신라 在城의 독자성은 처음부터 왕성을 뜻하는 말로써 기록된 것이라는 점이다. 즉 왕성을 뜻하는 어떤 말이 在城으로 표상되었던 것이고, 그 어떤 말은 在城의 표기 가치에 따라 ‘*잇잣~*이ᄉᆞ잣’으로 재구되는 것이며, ‘*잇잣~*이ᄉᆞ잣’은 왕성을 뜻하는 보통 명사로 이해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在가 신라 시대에 ‘*잇다~*이시다’로도 새겨졌다는 사실이 신라의 목간과 「갈항사탑기」등에서 파악되고, 왕성으로 지어진 月城이 보통 명사 ‘*잇잣~*이ᄉᆞ잣’으로도 불리어 在城으로 기록되었다는 논증과, 이와 같이 불렸다는 것이 지배자(왕)를 지칭한 ‘*잇ᄀᆞᆫ’ 및 ‘*잇ᄀᆞᆷ~*이ᄉᆞᄀᆞᆷ’과 동근어 관계라는 언어적 인식 등에 의해 납득된다. 요컨대, 월성이 신라의 왕성으로 만들어진 실체라서 고유칭(月城) 외에 당시의 지배자(왕)를 지칭하던 ‘*잇~*이ᄉᆞ’를 기반으로 조어되어 보통 명사로 불린 것이 ‘*잇잣~*이ᄉᆞ잣’이었으며, 이것이 在城으로 표기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 본고의 논지다.


Silla’s Jaeseong[在城] is the borrowed character which is recorded Wolseong’s nickname known as a royal castle. Wolseong is said to have been made in 22(101) years of Pasa kingdom which is the fifth king of Silla. There is Lee Byeongdo(1931) as a previous linguistic view for Silla’s Jaeseong[在城]. In this view, Goryeo’s Jaeseong[在城] was reconstructed to ‘*gyeon-seong’ and was understood to ‘a castle where a king lives’, furthermore he said the same for Silla’s Jaeseong[在城]. This view is quoted in many views as if it were common theory. Borrowed-character’s value of Jae[在] proved to be ‘*gyeo~*gyeon’ in Goryeo period, and it is possible that the meaning of ‘*gyeon-seong’ can be perceived as ‘a castle where a king lives’ by metonymy. Although I can agree to the previous view on Goryeo’s Jaeseong[在城], because Silla’s Jaeseong[在城] has a different uniqueness than Goryeo’s Jaeseong[在城] I has a view that Silla’s Jaeseong[在城] sh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with Goryeo’s Jaeseong[在城]. Uniqueness of Silla’s Jaeseong[在城] is Wolseong’s nickname which is built as a royal castle. In other words, it is that a name for the royal castle was symbolized as Jaeseong[在城] of Silla. Because of this, this study reconstructs Borrowed-character’s value of Silla’s Jaeseong[在城] into ‘*isjas~*isɔjas’ to fit the uniqueness of Silla’s Jaeseong[在城], and seeks an understanding that ‘*isjas~*isɔjas’ is the normal noun which means a royal castle. To seek this understanding, I identify ‘*isda~*isida’ in Wooden Tablets and Kalhangsa’s pagoda-record of Silla, as a borrowed-character’s value of Jae[在]. Accordingly on this reconstruct ‘*isjas~*isɔjas’ which means a royal castle as a normal noun, confirm that ‘*isda~*isida’ is a cognate relation with *isgɔn’ or ‘*isgɔm~*isɔgɔm’ which is referred to as a ruler(king). In accordance with these arguments, what is formed as a normal noun on the basis of ‘*is~*isɔ’ referred to as a ruler(king) is ‘*isjas~*isɔjas’, and it is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that ‘*isjas~*isɔjas’ is recorded as Jaeseong[在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