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의 문화재 개념 및 역할이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확장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후 대한민국의 건국 과정 등 중요 시기로 나누어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기존 문화재에 대한 이해가 문화재보호법 제도 안에서 이루어졌던 시각을 확장시켜, 문화재 관리 제도가 형성된 사회적 배경과 정치적 의도를 파악하여 문화재 인식 변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문화재가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 동화 이데올로기 창출 과정의 요소로 중요 역할을 했지만, 해방 후 대한민국 국가 정체성 형성에 핵심 요소로 변화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세계화와 지방자치화 흐름 속에서 문화재의 역할이 문화 외교의 중심이 되고, 지방자치 문화 상품으로 발전하는 과정도 다루었다. 최근 문화재가 문화 산업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그에 따른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재의 가치와 효용이 다양화되는 현상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한국 문화재가 국가적 자산이라는 의미가 여전히 강조되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사회 구성원 전체가 만들어가는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문화유산으로 의미가 제고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융합학문인 문화유산학 도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ea’s cultural property, specifically its concept and role in accordance with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present. Expanding upon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sets Korea’s cultural property within the framework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this paper endeavors to provide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understanding cultural property by analyzing the social background and political intention that brought about the management system of Korea’s cultural property. It shows how the role of Korea’s cultural property has been transformed from a colonial tool to justify the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during Japanese occupation, to a core element in nation-building and 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this paper deals with how Korea’s cultural property took on the role of cultural diplomacy under globalization, in addition to developing into local cultural products. It also looks at the recent trend of regarding cultural property as a significant part of cultural industry, and specifically sheds light on the varied uses and value of cultural property. Despite such developments, this paper critically reflects on the currently limited views of Korea’s cultural property, focusing on its value as a national treasur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erm “cultural property” be changed to “cultural heritage,” as heritage implies a social process where ordinary people (and not only the nation state) participate in heritage-making. It puts forth the necessity of “heritage studies,” an emerging interdisciplinary field,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