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해온 지금까지의 국내 단일대상연구 문헌을 수합하여 양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크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국내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에 대한 중재 연구 현황과 중재 효과를 파악하여 증거기반중재를 위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 2019년까지의 국내 학회를 통해 발표된 단일대상연구 23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특성 및 효과크기(PND와 Tau-U)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PND 79.7, Tau-U 0.86으로 비교적 높은 평균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연구 특성(연구대상의 평균 연령, 중재 방법, 중재 기간, 연구 설계)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의 질에 따라서는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지만, 연구의 질이 높다고 판정된 연구는 없었다. 발달장애학생에 대한 증거 기반의 실제를 위하여 반복․상동행동에 대한 연구의 폭을 확대하고, 기능평가에 기반을 둔 중재를 실시하며, 연구의 질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review the published Korean literature that used interventions for reducing repetitive and stereotyped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compute the effect sizes of the empirical studies. Also,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tervention research on repetitive and stereotyped behaviors for the targeted population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sizes(i.e., PND and Tau-U) of the 23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between the year 2000 and the year 2019. The results found tha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s was PND 79.7 and Tau-U 0.86, which showed a relatively high average effect size.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tudy characteristics(i.e., the mean age of study participants, the intervention technique, the duration of intervention, and the study desig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ffect siz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study. However, no study was considered a high quality of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scope of the study needs to be expanded, and the interventions based on the functional-analysis are practiced, and the high quality of researches is needed for the evidence-based practices of repetitive and stereotyped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