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교육부나 각 대학에서 제시하는 입학 기준을 따르면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중급 정도가 되면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정확한 기준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현재로서는 타당도가 되지 않은 임의적인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유학 중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 한국어능력과 입학 후의 학업성취도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국내 수도권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이 참여하였고, ‘1차 설문조사 실시, 2차 면담 실시, 인터뷰 녹음 전사, 자료 코딩 및 해석’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첫 학기에 이수한 학점은 평균 17.3학점이었다. GPA는 4.5점 만점에 평균 3.3점으로 대체로 높은 편에 속했다. 그런데 한국어능력과 GPA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인터뷰 결과를 전사한 자료를 코딩을 통해 분석한 결과, ‘TOPIK의 성격, 대학 내 한국어와 영어의 사용 비중, 외국인 학생에 대한 평가 기준, 전공 관련 내용 지식의 유무’의 개념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는 TOPIK 점수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학문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standard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each college, it is premised that the intermediate level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s capable enough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However, this is no more than an arbitrary standard with no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for now as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on the accuracy of it.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on this area. Thu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olleg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post-college academic achievement, targeting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studying abroad in Korean college. Especially,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 with foreign students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participated by foreign students of four-year-course college in the capital area of Korea. This study followed the research procedures such as ‘1st survey, 2nd interview, Transcription of interview recording, Data coding & interpretation’. In the results, the credit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leted in the first semester were average 17.3. In case of GPA, it was average 3.3 of 4.5, which was mostly high. However, there was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GPA. In order to find the causes for this phenomenon, the transcribed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ding. As a result, this study drew the conceptual categories such as ‘nature of TOPIK, percentage of using Korean and English in college, Differences in Evaluation Criteria for Foreign Students, and the matter of having knowledge related to major’.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is thesis verifi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students would be influenced by not only TOPIK score, but also many factor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to develop the tools for the evalu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