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한국의 경찰은 범죄자의 검거와 범죄의 예방뿐만 아니라 범죄피해자의 보호까지 상당히 넓은범위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형사사법기관의 일선에서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경찰에 대해시민들은 언제나 강인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경찰관이 느끼는 신체적⋅정신적인 고통은외면되어 왔다. 특히, 피해자의 원조를 주 업무로 하는 경찰관은 가장 가까이에서 피해자의 외상을목격하고, 공감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피로(소진)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해자를원조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과 해바라기센터 전담경찰관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피해자를 원조하는 업무에서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인 공감만족과, 부정적인 경험인 이차외상스트레스 그리고 업무외 환경에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하여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공감만족과 소진은 부(-),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제언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과 해바라기센터 전담경찰관의 소진을 줄일 수있는 정책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Currently, South Korean police are carrying out a fairly wide range of duties ranging from arresting criminals and preventing crimes to protecting criminal victims. And for the police who carry out these duties on the front lines of criminal justice organizations, are always required to be strong. The physical and mental pain felt by police officers in this atmosphere has been neglected. In particular, a police officer whose main task is to assist the victim are suffering for burnout as witness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victim’s trauma from nearby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burnout among the police officers for victims of crime and those for the sunflower center, who a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victims.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positive emotion felt in the work of supporting victims, the negative experience of secondary trauma stress, and the occupational stres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burnout. The analysi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among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iscussed policies that can reduce burnout through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