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특별한 관심영역 유목화게임이 자폐성장애아동의 경청하기와 반응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수학교 및 통합학급에 다니는 자폐성 장애 아동들 6명을 대상으로 특별한 관심영역 유목화 게임을 1주일에 1회기씩 18회기를 진행하였다. 게임 방법은 아동들이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유목화 할 수 있는 여러 항목들을 정해서 팀을 나누어 게임을 한 후 이긴 팀에게 보상을 함으로써 경청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였다. 경청하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목화 항목별 게임유지 시간을 측정하였고, 반응하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게임하는 동안 말하는 상대를 바라보는 것과 관심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측정하였다. 기초선을 측정하고 중재 전, 중재 중, 중재 후의 아동들의 반응하기를 관찰 기록하였다. 그 결과 특별한 관심영역 유목화게임은 자폐성장애아동의 경청하는 기술을 높였으며, 또래의 관심영역에 대한 내용을 경청함으로 관심영역이 확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폐성장애 아동이 특별한 관심영역을 게임으로 즐기게 하여 이들의 결핍인 상호작용의 기술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lassification game in circumscribed interests on autistic children's listening and response. 6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who attend special schools and integrated classes were given classification game in circumscribed interests one session a week, 18 sessions in total. The game method is that various categories in circumscribed interests are determined, children divided into teams, game played, and a winning team rewarded for motivation in listening. In order to measure listening, game duration time for each classification category was measured, and also to measure response, watching the talkers during the game and the expansion of interest area were measured. Based on the baseline measured, the reaction of children before, during and after arbitration was observed and recorded. As a result, classification game in circumscribed interests increased the listening skill of autistic children and brought about the expansion of interest area by listening to its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increasing interaction skill by having autistic children enjoy classification game in circumscribed interests.